지난 회고: retrospect-2024-1
돌아보기
이제 25년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24년이 빨리 지나갔다. 돌아보니 작년 7월에 전역을 하고 남은 반년을 의미있게 보내려고 나름대로 부지런히 산 것 같은데 우선, 24년 하반기에는 드디어 자취를 시작했다. 자취를 한 여러 이유가 있지만 무엇보다 그동안 못 해왔던 공부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. 군복무를 하면서 항상 코딩이든, 운동이든 자기계발에 대한 갈증이 있었는데 그럴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 아쉬웠다. 또 노트북과 한 몸인 컴공생들은 다들 이런 로망이 하나쯤은 있을 것 같은데, 내가 원하는 세팅을 맞추고 작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오래 해왔어서 사실 자취는 핑계 정도가 맞지 않나 싶다.
우선 24년 하반기에 진행했던 것들은 아래와 같다.
- GDG on Campus CAU 4기 Core
- 우테코 지원하기
- 학부연구생
- 운동
우테코
입대를 하기 전부터 하고 싶었던 것 중에 하나였다. 전역을 하고 7기 모집 공고만 올라오길 기다렸는데 공고가 올라오자마자 자소서를 준비했던 기억이 있다.
공부해야할 게 명확했던 고등학생과 달리 대학에 오고 길지 않은 시간일 수 있지만, 그래도 지금까지 공부를 해오면서 항상 내가 향하고 있는 방향이 옳은 방향일까...에 대한 의문이 은연 중에 있었던 것 같았다. 그런 의문을 우테코가 풀어줄 수 있지 않을까, 또한 내가 틀리지 않았음을 스스로 증명하고 싶어서 우테코를 지원했다.
지원 과정은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. 운이 좋게도 나는 2학기도 군휴학 기간이라 다른 분들에 비해 비교적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었고, 그중에서 자소서에 유독 공을 많이 들였다. 자소서는 최대한 담담하게, 내가 해온 것들에 대한 이유와 그 과정에서 느끼고 배운 점들을 최대한 주관적인 관점에서 자세히 적었는데 운이 좋게 잘 통한 것 같다.
프리코스와 최종 코테를 하면서 코딩을 잘하는 사람은 어딜가나 많구나... 라는 걸 체감할 수 있었다. 당시에는 그런 사람들 사이에서 불안감, 열등감만 느꼈던 것 같은데 지금 생각해보면 한 번 더 겸손해질 수 있는 기회였고 배울 수 있는 점도 찾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.
학부연구생
자취 시작과 동시에 학부연구생을 시작했다. 입대 전에 미리 컨택을 드렸던 교수님의 연구실에 마침 전역할 때쯤에 자리가 생긴다고 해서 이것도 운이 좋게 바로 시작을 할 수 있었다.
연구 주제도 마침 내가 관심 있어하던 문제를 다루고 있어서 큰 고민 없이 연구를 시작했다. 지금까지 하면서 느낀 점은 내가 생각하는 개발
이라는 과정이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. 오히려 연구 과정이 캡스톤이나 여타 프로젝트 활동보다 더 개발
이라는 키워드와 가깝지 않나...라는 생각이 든다.
요즘 학교를 다니면서 느끼는 건, 학부생에게 학교나 동아리에서 요구하는 개발이라는 경험이 너무 프레임워크나 특정 언어에 대한 지식 수준만 해당하는 것 같은 느낌이 있었다. 내가 생각한 개발자라는 건 결국 현실세계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코딩을 하나의 수단으로 쓸 수 있는 사람인데, 요즘 학교나 동아리에서는 반대로 문제가 안되는 것들을 오히려 강요하고, 그래서 본인들이 제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제하는 듯한 느낌이 불편하게 다가오는 것 같다.
하지만 학부연구생의 신분으로 짧지만 그동안 느꼈던 점은, 내가 문제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서 좋았다. 그 과정에서 문제의 본질을 고민해보고, 여러 방향으로 생각하면서 우리가 풀어야하는 문제가 무엇인지
라는 단계부터 시작할 수 있어서 더 몰입할 수 있었고, 그래서 더 재미있게 다가온 것 같다.
그치만 우테코를 시작하면서 병행을 하기는 힘들 것 같아 1월까지만 학부연구생을 할 것 같다. 마음 같아서는 둘 다 병행을 하고 싶은데 한 편으론 이것도 내 욕심같아서 복학 후에 다시 시작하지 않을까싶다.
운동
운동은 하면 할 수록 욕심이 생겨서 어려운 것 같다. 전역 이후에도 꾸준히 일주일에 적어도 4번, 5번은 운동을 해왔는데 어느 순간 내가 드는 중량과 몸이 정체가 돼서 어떻게 더 발전시킬 수 있을지 고민이 되는 시점인 것 같다.
먹는 양을 늘리는 게 답인 것 같아서 최근에는 운동만큼 먹는 것도 신경을 쓰고 있지만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지는 앞으로 더 지켜봐야할 것 같다.
25년에는 우테코를 하면서 어떻게 병행해나갈지 고민도 된다. 일주일에 적어도 3번, 욕심내서 4번정도 운동을 하고 싶은데 이 부분도 우테코를 시작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.
2025년은?
군복무 중 밤을 샐 때마다 전역 후의 계획을 세웠는데 신기할만큼 하나하나 이뤄갈 수 있었던 24년이었다. 운도 많이 따라준 것 같고 지금까지 준비해온 것들이 유의미했음을 알 수 있던 시간이었다.
25년도 어쩌다보니 휴학을 하게 되었는데 여러 사람들을 만나면서 많이 배우고, 깨닫고, 성장할 수 있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다. 깊이 있는 지식을 쌓고 내실을 다질 수 있는 시간이 되도록, 커리어 내외적으로 내 가치를 키울 수 있는 시간이 되도록 노력해보고 싶다.
2025년에는 새로운 것들에 불편해하지 않고 도전해보기를,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, 부족한 것들을 인정하고 메꿀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면서 24년 회고와 25년 목표를 기록해본다.